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서울=뉴시

oreo 0 1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 현장에서 강동수도사업소, 서울아리수본부 관계자들이 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03.31. 20hwan@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전국 상하수관로 약 40%는 20년 넘은 노후 관로이고, 실제 정비가 이뤄지기까지는 최대 11년이 걸리는 것으로 파악됐다.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20년이 지난 하수관은 총 7만5837㎞로, 전체(17만2496㎞)의 43.7%에 달한다. 그 중에서도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전체의 25.9%(4만4633㎞)를 차지한다.지역별로 20년 이상 된 하수관로 비율은 대구(74%), 광주(67.1%), 서울(66.1%), 대전(62.7%), 인천(55.4%), 제주(54.2%), 경기(50%) 순으로 높다.노후 하수관은 지반을 약화시켜 싱크홀 발생 위험을 높인다. 상하수관이 오래되면 이음새가 어긋나거나 관에 균열이 생기면서 누수가 생기는데, 이때 흘러나온 물이 주변 흙을 씻어내면서 땅 속에 빈 공간이 생기고 지반이 꺼지는 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싱크홀 절반은 상하수관 손상이 원인이었다. 다만 깊이 5m 이상의 대형 싱크홀은 대부분 지하공사 때문에 발생, 노후 상하수관과는 무관하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과 경기 광명시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의 경우 터널 공사가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환경부는 하수관로의 내구연한이 20년인 점을 감안해, 20년 이상 지난 하수관로를 정비 대상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2015년부터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해 결함이 확인된 구간에 매년 정비를 하고 있다. 환경부는 그 과정에서 지자체에 조사 비용과 사업비 일부를 지원한다.하지만 정비 대상으로 지정돼도 실제 정비가 이뤄지기까지 최대 11년 걸린다. 이 경우 설계에만 3년, 이후 재원 협의·설치 인가·공사입찰까지 1~2년, 공사에는 6년이 소요됐다. 공사 구간이 짧아서 1년밖【베이비뉴스 소장섭 기자】 황만기 황만기키본한의원 대표원장. 이효상 기자 ⓒ베이비뉴스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라면, 꼭 챙겨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자신의 건강이다. 내 건강이 무너지면, 모두 무너지는 것이다. 한의학박사인 황만기 황만기키본한의원 대표원장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질환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자.◇ 자두치아가 안 좋으신 노인(어르신) 분들에게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 추천해 드릴만한 좋은 음식으로는, 우선 '자두'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자두에는 뼈 건강에 좋은 비타민 K가 풍부합니다. 비타민 K는 뼈가 만들어지는 대사 과정을 촉진해서, 골밀도를 높여줄 뿐 아니라, 골절을 회복하고 골절 후유증을 극복하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자두에는 항산화 물질 중 하나인 폴리페놀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폴리페놀은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수를 줄여줍니다. 특히 말린 자두 '푸룬'은 국제 골다공증재단(NOF)에서 '뼈 건강을 위한 음식'으로 선정하기도 했으며, 비타민K, 구리, 붕소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합니다. 실제로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폐경기(갱년기) 중년 여성 160명이 말린 자두 '푸룬'을 12개월 동안 꾸준하게 먹은 결과, 골밀도가 1년 전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습니다.◇ 두유두유도 함께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두유는, 액체 성분이라서 몸에서 쉽게 잘 흡수되고, 소화도 잘 됩니다. 일반 두유보다는 검은콩으로 만든 검은콩 두유가, 칼슘 함유량이 더 높습니다. 단, 두유를 먹을 때 당분 함량이 높은 음식은 칼슘 배설을 촉진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콩콩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병아리콩'은 일반적인 콩 종류보다 단백질과 칼슘이 더 풍부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칼슘 함량은 100g당 45mg으로, 완두콩보다 약 2배 정도 더 많습니다. '병아리콩'은 열량도 낮은 편이라서 '슈퍼 곡물'로 불리기도 합니다. 밥에 넣어서 먹어도 좋고, 으깬 뒤에 아보카도나 크림치즈를 섞어서 빵에 발라 넣으면 색다른 맛을 즐길 수도 있습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