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작가들의 참여가 훨씬
oreo
0
4
04.25 20:38
“올해 한국 작가들의 참여가 훨씬 더 많아진 것 같은데요?”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 전시장(DWC)을 걷던 중 낯익은 한국 작가들의 얼굴이 여기저기서 눈에 들어왔다. 작년과 비교해 확연히 늘어난 한국 작가 이름이 적힌 캡션들을 보니 올해 한국의 존재감이 예년에 비해 더 뚜렷해진 것 같다.매해 4월은 두바이의 예술을 즐기기 좋은 계절이다. 봄이 오면 한국에는 벚꽃이 피고 두바이는 예술의 향기로 가득찬다. 중동 최대 규모의 현대 미술 박람회 중 하나인 ‘월드 아트 두바이 2025’가 올해로 11회를 맞이해 더욱 대담하고 다채로운 색채로 돌아왔다.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예술의 현장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열린 이번 박람회에는 65개국에서 400여 명의 작가들과 120개 이상의 갤러리가 참가해 총 1만점 이상의 작품을 선보였다. 유화, 수묵, 조각, 디지털 아트, 텍스타일, 공공설치미술까지 장르도 국가도 넘나드는 이번 전시는 ‘경계를 허물자(Breaking Boundaries)’는 슬로건을 내놓았다. 한 아랍인 연주자가 전시회장 안에서 피아노를 치며 분위기를 돋구고 있다 작년에는 한국이 맡았던 주빈국(Country of Honour)을 올해는 중국이 넘겨받았다. 전통 서예 퍼포먼스와 현대 회화의 경계를 넘는 다양한 실험이 펼쳐졌다. 수채화가 아닌 텍스타일 예술을 집중 조명한 ‘텍스타일 허브(Textile Hub)’, 두바이 도심에 대형 조형물을 전시한 ‘퍼블릭 아트 이니셔티브(Public Art Initiative)’ 등 체험형 콘텐츠가 더해지며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예술의 축제장이 됐다. “65개국의 예술가들이 만든 1만여 점의 작품을 만날 수 있어 매우 뜻깊고 세계 각국에서 참여한 400여 명의 작가들을 직접 만나 교류할 수 있어 진심으로 즐거웠던 시간”이라고 밝힌 두바이 문화예술청 의장이자 함단 왕세자의 여동생인 셰이카 라티파 빈트 무함마드 알 막툼 공주의 X계정 두바이 문화예술청 의장이자 함단 왕세자의 여동생인 셰이카 라티파 빈트 무함마드 알 막툼(Sheikha Latifa bint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공주는 “65개 시각장애인이 25일 서울남부지법 사법접근센터에서 점자프린터를 이용하는 모습. 2025.4.25/뉴스1 ⓒ News1 신윤하 기자 "이 안내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소송 절차에 싸우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고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서울=뉴스1) 신윤하 기자 = 시각장애인 안내견인 8살 리트리버 해달이와 서울남부지법 사법접근센터를 찾은 유석종 씨가 25일 점자 프린터를 통해 인쇄한 안내문을 읽어나갔다. 법률 상담을 위해 필요한 문서를 넣고 점역 버튼을 누른 후 프린터를 통해 인쇄하기까지는 1분도 걸리지 않았다. 유 씨는 개선점을 묻는 법원 직원의 질문에 "줄 간격 같은 게 좀 이동되면 좋을 것 같긴 한데, 어쨌든 어떤 내용이 있는지 확인을 할 수 있단 점이 좋다"고 답했다.이날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와 삼성화재 안내견 학교가 찾은 서울남부지법 사법접근센터에는 점자프린터뿐만 아니라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화상 전화기 등이 설치된 상태였다. 컴퓨터에 문서를 입력하자 이를 곧바로 읽어주는 음성이 흘러나왔다.사법접근센터는 장애인, 이주민, 외국인,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들의 '재판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설립됐다. 서울남부지법은 2022년 서울 권역 내에 최초로 사법접근센터를 개소했다. 사법접근센터에선 변호사와 법무사로부터 법률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법률문제뿐만 아니라 가족 간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을 한꺼번에 상담받을 수 있도록 상담 서비스도 제공한다. 25일 서울남부지법에서 법관들이 안내견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고 있다. 2025.4.25/뉴스1 ⓒ News1 신윤하 기자 남양주 시청에서 공무원으로 재직 중인 시각장애인 양주혜 씨(34)는 "법원에선 음성 지원 프로그램과 점자 프린터 둘 중 하나만 구비돼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엔 소리만 들을 수 있거나 점자만 읽을 수 있는 시각장애인이 굉장히 수동적으로 될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 남부지법 사법지원센터엔 각자 필요한 수요에 맞춰서 사용할 수 있게 (시설이) 구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