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SKT 해킹

onion 0 5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SKT 해킹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SKT 해킹사태 이후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일부 기업의 꼼수 스크래핑(자동 정보수집)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헥토그룹 내 헥토파이낸스 자회사 헥토데이터(구 코드에프)의 경우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선정되지 않았음에도 환자들의 ‘진료 및 투약정보’ ‘건강검진 내용’ 등을 판매하며 매출을 내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관련 사업자가 아님에도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쿠콘(294570) 등 상당수가 더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소관 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마이데이터 사업 단장은 내년 이런 스크래핑 행위에 대한 전수조사를 예고했다. 개인정보법 추가 개정을 통해 처벌 기준도 명확히 한다는 방침이다.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에 따라 정보전송자 및 전송 요구 대상이 되는 민감 분야 대상 정보 (자료=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핵토 측 “금융 마이데이터 업체여서 의료 데이터 스크래핑도 가능하다?”1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보위)에 따르면 지난 3월 개인정보법법률 개정안에서 의료정보 등은 정부가 정한 특수전문기관 만이 ‘마이데이터(환자들의 의료 정보)’를 다룰 수 있게 했다. 하지만 헥토파이낸셜(234340) 자회사인 헥토데이터는 의료 데이터를 다룰 수 없음에도 환자들의 의료정보 스크래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헥토데이터는 시행령 개정 후인 5월, 6월 ‘CODEF API’ 서비스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으로 파악된다헥토그룹이 의료 스크래핑을 통해 매출을 내고 있는 모습 (사진=제보자 제공)하승철 마이데이터 단장은 “일부 기업의 스크래핑이 문제라는 것을 당국도 인지하고 있다. 스크래핑 기준을 어길 시 시정 명령 및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된다”라며 “하반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마이데이터 관련 정보 전송자들에게 안정성 강화 조치를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스크래핑(정보 수집) 가이드라인을 어기는 업체를 선별하기 위해 늦어도 내년 전수조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스크래핑은 이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웹사이트에 자동 접속한 후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건강보[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SKT 해킹사태 이후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일부 기업의 꼼수 스크래핑(자동 정보수집)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헥토그룹 내 헥토파이낸스 자회사 헥토데이터(구 코드에프)의 경우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선정되지 않았음에도 환자들의 ‘진료 및 투약정보’ ‘건강검진 내용’ 등을 판매하며 매출을 내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관련 사업자가 아님에도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쿠콘(294570) 등 상당수가 더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소관 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마이데이터 사업 단장은 내년 이런 스크래핑 행위에 대한 전수조사를 예고했다. 개인정보법 추가 개정을 통해 처벌 기준도 명확히 한다는 방침이다.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에 따라 정보전송자 및 전송 요구 대상이 되는 민감 분야 대상 정보 (자료=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핵토 측 “금융 마이데이터 업체여서 의료 데이터 스크래핑도 가능하다?”1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보위)에 따르면 지난 3월 개인정보법법률 개정안에서 의료정보 등은 정부가 정한 특수전문기관 만이 ‘마이데이터(환자들의 의료 정보)’를 다룰 수 있게 했다. 하지만 헥토파이낸셜(234340) 자회사인 헥토데이터는 의료 데이터를 다룰 수 없음에도 환자들의 의료정보 스크래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헥토데이터는 시행령 개정 후인 5월, 6월 ‘CODEF API’ 서비스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으로 파악된다헥토그룹이 의료 스크래핑을 통해 매출을 내고 있는 모습 (사진=제보자 제공)하승철 마이데이터 단장은 “일부 기업의 스크래핑이 문제라는 것을 당국도 인지하고 있다. 스크래핑 기준을 어길 시 시정 명령 및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된다”라며 “하반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마이데이터 관련 정보 전송자들에게 안정성 강화 조치를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스크래핑(정보 수집) 가이드라인을 어기는 업체를 선별하기 위해 늦어도 내년 전수조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스크래핑은 이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웹사이트에 자동 접속한 후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환자들의 개인 정보를 헥토데이터 등이 수집해가는 방식과 동일하다. 실제 헥토데이터는 홈페이지에서도 스크래핑 서비스인 ‘CODEF API’가 ‘건강보험공단’ 등에서 환자 정보 [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SKT 해킹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