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사람들의 일상사’는
oreo
0
4
04.25 03:14
‘작은 사람들의 일상사’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경험과 삶의 방식을 중심으로 역사를 바라본다. 1950~60년대 여학생들에게 영화 관람과 남녀 교제는 처벌의 대상이었다. 일제 강점기 조선 민중들은 ‘불경죄’로 고초를 겪기도 했다. 사진은 1959년 개봉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영화 ‘청춘 극장’ 포스터. 푸른역사 제공 일상사(日常史·Alltagsgeschichte)는 1980년대 독일에서 발전한 역사 연구 방식으로, 기존 거시적·구조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경험과 삶의 방식을 중심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접근법이다. ‘위로부터의 역사’가 아닌 ‘아래로부터의 역사’다. 90년대 한국에 소개된 일상사는 점차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연구와 성과물이 생산되고 있다. 이번 책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과 독일, 영국 등에서 개최된 다섯 차례의 일상사 워크숍에서 발표된 논문 가운데 9편을 골라 엮은 것이다. 연구자 입장에서는 일상사의 연구 성과를 한자리에서 가늠해 볼 수 있고, 독자 입장에서는 생소한 일상사의 맛을 볼 수 있는 기회다. 학문적 의미를 떠나서 일상사는 ‘나와 같은’ 사람들의 역사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1938년 불경죄 처벌을 위한 현장 검증 사진. 푸른역사 제공 ‘1950~60년대 풍기문란 단속과 여학생, 일탈과 저항’(소현숙)은 1950~60년대 여학생에 대한 ‘풍기문란(風紀紊亂)’ 단속을 미시적으로 접근한다. 일상사 연구의 필요성과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낸 연구가 아닐까 싶다. 주로 분석한 자료는 경기도 이천양정여자중고등학교의 학생지도와 관련된 서류들이다. 학생지도 관련 공문과 함께 교칙 위반 학생들에 대한 각종 징계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징계 처분 관련 문서들 속에는 교사와 징계 학생 간의 질의응답을 담은 청취서, 징계 학생의 반성문, 증거품 등이 첨부됐다. 당시 학생들의 생활 실태를 담은 귀중한 자료다.당시 겨울방학을 맞아 학교에서 학부형에게 보낸 서간문을 보면, 영화와 연극 관람 불허와 오후 9시 이후의 외출 금지 등의 내용이 보인다. 크리스마스 예배 등 교회 행사로 인해 야간 통행이 불가피한 학생은 목사의 확인증까지 받아야 했다. 교칙 위반으로 세계 최대 산호 군락인 호주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지역에 백화 피해가 커지고 있다. AFP 연합뉴스 기후변화로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지난 2년여간 전 세계 산호초 80% 이상에서 대규모 ‘백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바닷속 열대우림’으로 불리는 산호의 백화 피해는 바다생물 서식지 파괴 등 해양 생태계 붕괴를 가속화할 수 있어 지구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한 행동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미국 해양대기청과 국제 산호초 이니셔티브는 전 세계 바다에서 네 번째 백화 현상이 본격화한 2023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전체 산호초 84%가 백화 수준의 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산호의 백화는 바다 온도가 뜨거워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내부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조류(미세해조류)를 방출하면서 점점 색을 잃게 되는 현상이다. 백화 현상은 여태까지 네 차례 관측됐는데, 1998년 첫 백화 현상 당시엔 전 세계 산호의 21%가, 2010년 두 번째엔 37%, 2014~2017년 세 번째엔 68%가 피해를 입었다.국제 산호초 이니셔티브는 이번 네 번째 백화 현상이 “전례 없는 규모”라고 평가했다. 이번 피해를 계기로 기존에는 1~2단계만 있던 ‘백화 경보’ 척도에 3~5단계가 추가됐다. 이전 최고 단계였던 2단계가 “열에 민감한 산호의 폐사 위험”을 알리는 척도였다면, 5단계는 “장기 피해로 인해 산호 80% 이상이 폐사할 위험”을 뜻한다. 미국 해양대기청의 산호 경보 프로그램. 누리집 갈무리 역대급 산호 피해의 원인으로 해양 온도 상승이 꼽힌다. 2024년은 산업화 이전보다 기온이 1.5도 이상 상승한 첫 번째 해로, 최근 10년(2014~2023년) 사이 해수면 온도는 최대 1.2도 상승했다. 바닷물 온도가 평소보다 1~2도 높아진 상태가 4주 이상 유지되면 일부 산호가 백화하고, 8주 이상 지속하면 대규모 백화가 발생할 수 있다.산호 백화는 해양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다. 산호초와 공존하는 전체 해양 생물종 약 25%가 사라질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