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편집자 주 '

oreo 0 216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CBS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경제연구실'에 매주 월/화/수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아래 녹취는 일부 내용으로, 전체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기후로운 경제생활' ■ 진행 :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대담 : 최서윤 CBS 경제부 기자 ◆ 홍종호> 기후의 눈으로 경제를 읽다. CBS 기후로운 경제생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진행을 맡은 홍종호입니다. 한 주 동안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기후 현황 전해드리는 주간 기후 브리핑 시간입니다. 오늘도 CBS 경제부 최서윤 기자 나와 계세요. 오늘 어떤 이야기 준비해 주셨습니까? ◇ 최서윤> 네. 첫 번째 소식입니다. 정유업계까지 관세에 당했다.◆ 홍종호> 지금 워낙 핫한 글로벌 이슈예요.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 세계가 관세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죠. 이미 예견된 일이긴 했지만, 관세 정책이 발효되자 주식시장은 폭락했고,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유예하겠다고 하면서 다시 급등했습니다. 롤러코스터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서윤> 맞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대외적으로 치르고 있는 관세 정책의 후폭풍, 많은 분들이 실감하고 계실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조치가 미국을 위해서라고 했는데 가만 보면 정작 가장 혼란스러운 건 미국 국민들인 것 같아요. 사재기가 웬 말입니까?관세 때문에 유가도 정신을 못 차리고 있어요. 석유 기업들까지 타격을 받고 있는 겁니다. 교수님도 보셨겠지만, 최근 유가 관련 헤드라인 쭉 모아보면 폭등, 폭락, 급등, 급락 같은 키워드들이 하루 단위로 자리를 바꾸고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유가 관련해서 좀 정리를 해봤습니다. CBS 경제연구실 유튜브 캡처 ◇ 최서윤> 먼저 관세 정책 타임라인 보면서 설명해 드릴게요.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10 개그맨 겸 지휘자 김현철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개그맨 겸 지휘자 김현철이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교보문고에서 책 '김현철의 고급진 클래식당' 저자 사인회를 진행하고 있다. 2025.4.19 heev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제가 클래식 음악을 전공한 것도 아니고, 처음에는 친구들을 웃기려고 지휘자를 흉내 냈거든요. 그런데 하다 보니 음표 하나, 쉼표 하나 다 외우게 되더라고요. 그게 차곡차곡 쌓여서 음악인이 됐죠."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교보문고에서 만난 개그맨 김현철은 인터뷰 도중 감정을 실어 클래식 한 소절을 지휘했다. 눈을 감고 온몸에 감정을 실어낸 그의 모습에서 클래식에 대한 진한 애정이 엿보였다.김현철이 클래식에 빠지게 된 것은 초등학교(국민학교) 5학년 때부터였다.오락부장을 맡으면서 차별화된 개그를 선보이려 당시 '가곡의 산책'이라는 TV 프로그램 속 성악가들을 흉내 내기 시작했다.그러다가 어느덧 클래식에 대한 애정이 쌓였고, 지휘의 매력에도 빠지게 됐다.2014년 '김현철의 유쾌한 오케스트라'를 창단했고, 홀트학교 오케스트라 명예 단장으로도 활동했다.그사이 김현철에게는 '현마에' ,'지휘퍼포머' 등 다양한 별칭이 붙였다.하지만 그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소개는 '개그맨이면서 지휘자'라는 말"이라고 했다. 개그맨 김현철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지휘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번에는 클래식을 주제로 한 책도 냈다.그는 SBS라디오 '이숙영의 러브FM'에서 '현마에의 유쾌한 클래식' 코너, MBC라디오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에서 '모차르트롯' 코너를 장기간 진행하며 쉽고 재미있게 클래식 이야기를 전해 왔다.김현철은 "라디오에서 클래식 이야기를 하면서 관련 노트를 틈틈이 써왔는데, 이번에 모아서 책으로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이어 "사실 클래식이 정말 많은 곳에서 흘러나오지 않느냐"며 "병원부터 화장실까지 온갖 곳에서 클래식이 나오는데, 설명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무슨 곡인지 모른다"고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