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⑥I waswrong,wasn’t I? → 나 틀

oreo 0 1
⑥I waswrong,wasn’t I? → 나 틀렸었지, 그렇지?㉒Let’sgo for a walk,shall we? → 산책하자, 그치?⑤We arefriends,aren’t we? → 우리 친구지, 그렇지?㉑Don’ttouch that,will you? → 그거 만지지 마, 알았지? (부정명령문)2. Let's ~/ Let's not~로 시작하는 권유문 뒤에는 'shall we?'를 붙인다.②You arehappy,aren’t you? → 너 행복하지, 그렇지?◈ Well,I'mjust so goddamned lucky,aren't I? - 음, 난 정말 운이 좋은 것 같아, 그렇지 않아?안녕하세요? '나의 라임 영어 나무'의 영라임쌤입니다.⑲Passme the salt,would you? → 소금 좀 건네줄래? (명령문)▣ 예문⑭He isn’tat home,is he? → 걔 집에 없지, 그치?2. 의문문 부분 주어와 동사의 시제부가의문문의 문법 구조#3#1◈She won'tstop making podcasts,will she? - 쟤는 팟캐스트를 계속 만들 거지, 그치?② 평서문의 동사가 be 동사이면 의문문 부분에도 be 동사를 그대로 사용한다. 단 평서문의동사가 am인 경우는 amn't I를 사용하지 않고 aren’t I를 붙인다.③She issmart,isn’t she? → 그녀는 똑똑하지, 그렇지?①의문문 부분의 주어는 반드시 대명사를 사용한다.2. 억양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 (↗질문, ↘확인)① 상대방의 의견이나 확인을 진짜로 묻고 싶을 때(질문의 의도가 강할 때): 억양을 올린다.⑧My friend and I arelate,aren’t we? → 내 친구랑 나는 늦었지, 그렇지?⑦You werethere,weren’t you? → 너희들 거기 있었지, 그렇지?→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면서 현재시제 일 때는 does, 나머지 인칭은 모두 do를 사용하고, 시제가 과거이면 주어에 상관없이 did를 사용한다.◈Pierce iskind of a genius,isn't she? -피어스는 정말 천재인 것 같아요, 그렇죠? [앵커]지난해 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모두 힘드셨을 텐데요.당시, 우리 바다도 57년 만에 가장 뜨거웠습니다.펄펄 끓는 바다로 인해 우리나라 연안에는 어류가 떠나고 해파리만 득실했습니다.올해도 걱정입니다.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리포트]몇 달째 출어도 못 하고 묶인 오징어잡이 어선들.만선의 기쁨은 옛말, 고수온에 따른 어장 변화로 오징어 구경조차 힘들 지경입니다.[김월광/전국오징어채낚기 선주실무자 연합회장 : "(예전에는) 배에 고기를 만선이랄까 한 배씩 잡아 오고, 기쁨도 있었지만, 현재는 아예 그런 고기는 찾아보려 해도 찾아볼 수가 없는 실정입니다."]양식장도 타격이 컸습니다.지난해 양식 피해만 천430억 원에 달했는데, 이는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악입니다.재앙 수준의 고수온,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표층 수온이 올라가면 영양분이 풍부한 저층 해수와 섞이지 않아 바다의 플랑크톤이 빈약해집니다.실제로, 플랑크톤이 줄어든 탓에 지난해 우리 바다의 기초생산력은 전년에 비해 21.6%나 떨어졌습니다.[이준수/국립수산과학원 박사 : "(작은 플랑크톤이 늘어나면서) 먹이망 전체에 전달하는 에너지양이 감소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업 생산성이 떨어지는…"]반면, 바다의 불청객, 해파리는 기승입니다.지난해 노무라입깃해파리 출현은 2015년 이후 가장 많았고 해파리 쏘임 사고 역시 4천2백여 건으로 역대 최다였습니다.지난해 우리 바다 수온은 체계적 측정 이후 57년 만에 최고였습니다.전문가들은 고수온이 지속된다면, 양식업과 어업의 구조조정은 물론 레저 산업 전반의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강지아 기자 (jia@kbs.co.kr)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