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사진=클립아트코리아

sans339 0 18
쿠팡퀵플렉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조기 치매 위험이 2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사증후군의 다섯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진 경우에는 위험이 약 70%까지 증가했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천대영 교수,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순천향대학교 신경과 이정윤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대사증후군과 조기 치매 발생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혈중 중성지방 증가,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상태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되면 혈관에 염증과 손상이 발생하고,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인지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대사증후군은 심장질환, 뇌졸중, 당뇨병뿐 아니라 최근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연구팀은 2009년부터 2020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40~60대 남녀 약 198만명을 평균 7.8년간 추적 관찰했다. 전체 참여자의 약 25%가 대사증후군에 해당했으며, 진단 기준은 5가지 지표(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혈중 중성지방 증가,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했다.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보유자는 조기 치매 위험이 24% 더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12% 혈관성 치매 위험이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지표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기 치매 발생 위험은 약 7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또한 이번 연구는 체중에 관계없이 대사질환이 동반되면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실제로 정상 체중이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위험이 비만군보다 더 높았다. 결국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체중뿐 아니라, 전반적인 대사 건강 상태를 함께 살펴야 한다.이민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이 조기 치매의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확인했다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62·사진)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39%의 고율 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 워싱턴을 찾았지만 정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도 못한 채 빈손으로 귀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의 주요 수출품인 의약품에도 최대 250%의 관세 폭탄을 예고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그가 위기를 돌파할 만한 지도력을 보여 주지 못했다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은 스위스 수출의 19%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켈러주터 대통령은 6일 워싱턴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만 회동했다. 트럼프 대통령,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나지 못한 채 같은 날 워싱턴을 떠났다.이 여파로 미국 동부 시간 7일 0시(한국 시간 7일 오후 1시)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위스 제품은 39%의 관세가 적용됐다. 미국과 15%의 관세에 합의한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보다 2.6배 높고 10%인 영국의 3.9배에 달한다. USTR에 따르면 지난해 스위스의 대(對)미국 무역흑자는 383억 달러(약 52조8540억 원)이다. 이 중 약 60%가 의약품에서 나온다. 시계, 의료기기 등도 주요 수출품이다.지난달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켈러주터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무역흑자를 줄일 방안을 내놓으라”고 요구했지만 스위스가 미온적으로 대응하자 약 2시간 후 39%의 관세를 매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 CNBC 인터뷰에서도 “그(켈러주터 대통령)는 상냥했지만 (내 말을) 전혀 들으려 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표했다. 현지 언론인 존타크스차이퉁은 ‘스위스 역사상 최대의 외교 실패’라고 비판했다.번역가 겸 중등 교사 출신인 켈러주터 대통령은 1992년 시의회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연방 평의회 의원, 재무장관 등을 거쳐 올 1월 1일부터 대통령직을 맡고 있다. 스위스는 미국의 주(州)와 유사한 26개 칸톤으로 이뤄진 연방제 국가다. 7명의 연방 평의회 의원이 1년씩 대통령직을 번갈아 수행한다.김윤진 기자 kyj@donga.com 쿠팡퀵플렉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