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

onion 0 1
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 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항구의 크레인이 정박 중인 선박이 없어 멈춰선 상태다. 미국의 대(對)아시아 최대 무역항인 롱비치 항구는 관세 정책 등의 여파로 지난 5월 수입 컨테이너가 전년 대비 13% 줄었다. /AFP 연합뉴스 지난 28일 오후 1시쯤(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항구. 축구장 162개 크기(약 37만평)의 컨테이너 전용인 ‘롱비치 컨테이너 터미널’에는 정박 중인 선박이 한 척도 없었다. 맞은편 다른 터미널에는 소금 운반선 한 척만 보였다. 선박에서 지상 야적장으로 컨테이너를 옮기는 크레인은 대부분 멈춰 선 상태였다.롱비치 항구는 인근 LA 항구와 함께 미국의 대(對)아시아 최대 무역항으로 미국 내에서 가장 바쁜 항구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자동차, 전자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이 대부분 이곳을 거쳐 미국 내륙으로 운반된다. 롱비치항에는 하루 평균 5~6척의 컨테이너 선박이 들어오지만 이날 입항 선박은 홍콩에서 온 ‘코스코’ 선박을 비롯해 3척뿐이었다. 진 세로카 LA항 전무이사는 “하루 입항 선박 수는 예년 절반 수준”이라고 했다.글로벌 경기 불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미국의 관세 정책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물동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탓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말까지 나온다. 12년간 롱비치 항구에서 보안 업무를 해온 프랭크(71)씨는 “대부분의 터미널이 가동률을 줄여 운영하는 상태”라며 “경제가 어려워질 때 화물이 감소하는 건 당연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까지 겹치며 항구 전체가 혼란스럽다”고 했다. 그래픽=이철원 ◇글로벌 경기 침체에 물동량 급감이날 롱비치 항구 야적장 곳곳에 빈 공간이 보였다. 한 직원은 “평소라면 빼곡하게 6층까지 컨테이너를 쌓아 놓지만, 최근엔 물량이 줄어서 3~4층 정도만 쌓아두는 수준”이라며 “반대편 야적장은 절반 가까이 빈 공간이다”라고 했다.롱비치 항만청에 따르면 지난 5월 롱비치항에 들어온 수입 컨테이너는 29만 9116개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같은 달 LA항 수입 컨테이너 처리 개수도 전년 보다 9% 감소했다. LA항에서 일하는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6.3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유승 기자 = 이재명 정부 5년의 국정 밑그림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번 주까지 국정과제 초안 작성을 마무리 짓고, 정부 조직 개편안의 얼개를 짤 예정이다. 또 이달부터 한 달간 버스를 타고 전국을 돌며 국민 제안도 청취한다.1일 국정기획위에 따르면 위원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제시한 공약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집행할 국정과제를 선별 중이다. 이 과정에서 공약별 예산 소요와 재원 조달 계획 등을 분석해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다.위원회는 이번 주까지 국정과제 초안 작성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이한주 국정기획위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전체 회의에서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각 분과 차원에서 국정 과제 목록이 취합됐고, 이번 주부터 심층 검토를 통해 국정과제 목록 초안을 정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위원회는 정부 조직개편의 얼개도 이번 주 중 완성해 국민 앞에 제시한다는 계획이다.위원회는 현재 △기획재정부의 예산 기능 분리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위주로 조직 개편 사항을 들여다보고 있다.이 위원장은 "관련 TF에서 철저한 보안 하에 내용을 구체화하고 있다"며 "이번 주 중으로 정부 조직 개편의 큰 얼개가 가닥이 잡힐 것 같고, 조만간 국민들에게 완성된 형태를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아울러 위원회는 이날부터 오는 24일까지 전국 4개 권역을 방문해 지역 현장과 소통하는 '버스로 찾아가는 모두의 광장' 상담·접수 창구를 운영하기로 했다.이를 통해 산불·수해 피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생 현장과 장기간 해결되지 못한 지역의 민원·공공 갈등 사안 등에 대해 해결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현장 소통은 매주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운영된다. 7월 첫째 주 강원권을 시작으로, 충청·경상·호남권 거점 도시 청사에서 순 지난 5월 6일 미국 캘리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