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이재명 대통령이 3

onion 0 2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첫 공식 기자회견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에 참석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7.03.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은 3일 남북 관계에 대해 “대화를 전면 단절하는 것은 정말 바보짓”이라며 “한미 간 든든한 공조 협의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같은 명확한 관계 설정을 해놓으면 좋겠다는 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대북 정책에 대해 “지금 통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자칫 상대에게 ‘흡수하겠다는 거야’ ‘굴복을 요구하는 거야’ 이런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며 “흡수가 아니다. 누가 흡수당하고 싶겠냐. 엄청난 희생과 갈등을 수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 변호사 시절 부부 갈등 상담을 한 경험담을 언급하면서 “부부클리닉 같은 데 가서 남녀 역할을 바꿔보면 서로 이해하게 된다”며 “서로 절멸하는 게 목표가 아니라면 안전한 범주 내에서 서로에게 득이 되는 길로 가는 것. 그게 대화와 소통, 협력, 공존”이라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대북 방송을 중단할 때 얼마나 빨리 반응할까, 혹시 반응 안 하면 어떻게 할까 약간 우려한 것은 사실”이라며 “너무 빨리 호응해서 약간은 기대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선 “북한 대중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인도적 지원을 하는 것도 역시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 “사실 빠른 시일 내에 일본에 갈 생각이었는데, (일본이) 선거 때문에 바빠졌다고 해서 날짜를 확정하지 못하는 상태”라며 “셔틀외교(상호 방문) 복원은 제가 먼저 얘기한 건데, 가까운 이웃 나라니까 수시로 오가면서 대화를 통해 협력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독도 문제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독도를 둘러싼 영토 논쟁이지 영토 분쟁이라고 할 수[김시연 기자]▲ 최성락 경영학 박사가 최근 <주간 동아>에 기고한 칼럼(‘프리미엄 돈가스 사 먹는 기초수급 아동을 보는 두 가지 시선 - [돈의 심리] 빈곤층이 차상위 계층보다 잘 사는 복지는 피해야’)이 논란이 되고 있다.ⓒ 주간동아 "나보다 어려운 사람을 도와줄 수 있다. 하지만 도움을 받는 사람이 나보다 더 잘살면 안 된다. 나는 돈가스를 못 사 먹는데, 지원받은 사람이 프리미엄급 돈가스를 사 먹는 건 곤란하다." 최성락 경영학 박사가 최근 <주간 동아>(1495호 6월 27일)에 기고한 칼럼 '프리미엄 돈가스 사 먹는 기초수급 아동을 보는 두 가지 시선([돈의 심리] 빈곤층이 차상위 계층보다 잘 사는 복지는 피해야)'에서 결식아동 급식지원제도를 계층간 위화감을 부추기는 소재로 삼아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칼럼 도입부에는 기초수급 아동이 '소득 수준이 낮은 아동에게 지급하는' 바우처 카드로 '프리미엄급 돈가스'를 사먹는 것을 본 어떤 사람이 '아이들이 바우처 카드를 받는 것은 이해할 수 있으나, 지원받은 돈으로 그렇게 좋은 식당에서 음식을 사 먹는 건 이해할 수 없다'며, 복지센터에 항의 전화했다는 사례가 등장한다. 최 박사는 이 글을 비판하는 댓글에 동의한다면서도, "그 사람 마음이 이해가 되기는 한다. 단순히 그의 속이 좁다고 비판할 일은 아니다"라고 사실상 동조했다.7년 전 "가난한 주제에 감히 돈가스를 먹어?" 논란 반복칼럼 논조도 문제지만, 결식아동 급식지원제도를 소재로 삼은 것도 문제다.우선 최 박사가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눈길을 끄는 글을 발견했다'는 글의 실체는 물론 출처도 불분명하다. 그런데, 7년 전에도 비슷한 사례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디지털 크리에이터인 표범 작가가 지난 2018년 3월 14일 인터넷 매체인 'ㅍㅍㅅㅅ'에 쓴 글 '불쌍하고 얌전하고 부족하게' 보여야 사는 사람들'에서 처음 등장했고, 이후 SBS <스브스뉴스>("가난한 주제에 감히 돈가스를 먹어?"…씁쓸한 편견')에서도 다룬 사례였다.표범 작가가 오래전 교육 봉사 중에 만난 사회복지사에게 들었다는 이야기지만, 좀 더 구체적이다. 어느 날 센터로 항의 전화가 들어왔다고 한다. 전화를 건 사람은 이렇게 말인즉슨, 자기 동네에 있는 아이가 기초생활수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