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재테크숟가락] 행동경제학으로 본 퇴직연금

onion 0 4
[재테크숟가락] 행동경제학으로 본 퇴직연금‘노후대비’는 몇 살 때부터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는 20대에는 돈 벌고 쓰는 재미에 빠져 노후대비는 남의 일이 된다. 30대에도 ‘노후대비’는 왠지 먼 미래의 일인 것만 같다. 행동경제학 박사인 김나영 양정중 교사는 “‘현재의 나’가 생각하는 ‘미래의 나’는 타인과 같다”며 “노후대비에 소홀히 하는 이유”라고 했다.김나영 양정중학교 교사. 행동경제학 박사이자, 중학교에서 경제 동아리를 운영하며 아이들에게 경제 지식을 쉽게 알려주고 있다. /재테크숟가락이런 탓에 우리나라는 노후준비가 부족해도 너무 부족하다는 소리가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은퇴 나이는 63세,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나이는 65세다. 국민연금 월평균 수급액은 약 65만원에 불과한데, 노후 생활비는 월 336만원이다.(2024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부부 기준) 김 교사는 “미국에는 퇴직연금만으로 노후를 보내는 ‘연금 백만장자’가 많다”며 “그 이유는 행동경제학에 기반한 퇴직연금 설계에 있다”고 했다.조선일보 경제부의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에선 4일(금) 재테크숟가락을 통해 ‘백만장자로 은퇴하는 법’을 공개했다. 김 교사가 미국에 연금 백만장자가 많은 이유, 반면 우리나라에는 퇴직연금 백만장자가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탄 리처드 탈러는 행동경제학에 기반한 퇴직연금 설계를 제안했고, 실제 미국의 퇴직연금 401K는 탈러의 연구에 기반해 작동하고 있다. 김 교사는 “사람들은 기본값을 잘 바꾸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미국의 퇴직연금은 강제 가입이고, 가입자가 바꾸지 않는 한 자동으로 TDF에 가입되게 돼있다”고 했다. TDF는 타깃 데이티드 펀드(Target dated fund)의 약자로, 목표로 한 은퇴시점에 맞춰 자산배분 비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상품이다. 젊었을 때는 변동성이 높은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고, 은퇴 시점이 가까워지면 변동성이 낮은 채권 투자 비중을 높이는 식이다.미국의 퇴직연금 401K는 행동경제학자 리처드 탈러의 연구 결과에 기반한다. /재테크숟가락김 교사는 우리나라에 퇴직연금 백만장자가 없는 이유 몇 가지를 설명했다. 첫째로 ‘일시금 수령’을 꼽았다. 그는 “우리나라도 [재테크숟가락] 행동경제학으로 본 퇴직연금‘노후대비’는 몇 살 때부터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는 20대에는 돈 벌고 쓰는 재미에 빠져 노후대비는 남의 일이 된다. 30대에도 ‘노후대비’는 왠지 먼 미래의 일인 것만 같다. 행동경제학 박사인 김나영 양정중 교사는 “‘현재의 나’가 생각하는 ‘미래의 나’는 타인과 같다”며 “노후대비에 소홀히 하는 이유”라고 했다.김나영 양정중학교 교사. 행동경제학 박사이자, 중학교에서 경제 동아리를 운영하며 아이들에게 경제 지식을 쉽게 알려주고 있다. /재테크숟가락이런 탓에 우리나라는 노후준비가 부족해도 너무 부족하다는 소리가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은퇴 나이는 63세,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나이는 65세다. 국민연금 월평균 수급액은 약 65만원에 불과한데, 노후 생활비는 월 336만원이다.(2024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부부 기준) 김 교사는 “미국에는 퇴직연금만으로 노후를 보내는 ‘연금 백만장자’가 많다”며 “그 이유는 행동경제학에 기반한 퇴직연금 설계에 있다”고 했다.조선일보 경제부의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에선 4일(금) 재테크숟가락을 통해 ‘백만장자로 은퇴하는 법’을 공개했다. 김 교사가 미국에 연금 백만장자가 많은 이유, 반면 우리나라에는 퇴직연금 백만장자가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탄 리처드 탈러는 행동경제학에 기반한 퇴직연금 설계를 제안했고, 실제 미국의 퇴직연금 401K는 탈러의 연구에 기반해 작동하고 있다. 김 교사는 “사람들은 기본값을 잘 바꾸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미국의 퇴직연금은 강제 가입이고, 가입자가 바꾸지 않는 한 자동으로 TDF에 가입되게 돼있다”고 했다. TDF는 타깃 데이티드 펀드(Target dated fund)의 약자로, 목표로 한 은퇴시점에 맞춰 자산배분 비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상품이다. 젊었을 때는 변동성이 높은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고, 은퇴 시점이 가까워지면 변동성이 낮은 채권 투자 비중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