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호산나교회 초등부 어린이가 지난해 7월 교회 앞마당에 설치된 수영장 워터슬라이드를 타고 내려오며 손가락으로 브이(V) 자를 그리고 있다. 호산나교회 제공 “워터슬라이드 또 탈래요! 여기선 긴 줄 안 서도 돼서 진짜 좋아요.”무더위와 습한 날씨가 오가던 지난 12일 서울 노원구 호산나교회(이상희 목사) 앞마당은 아이들 웃음소리로 활기를 띠었다. 대형 풀과 유아 풀, 워터슬라이드가 설치된 수영장에서 형형색색 수영복을 입은 아이들이 물장구치며 놀고, 부모들은 피크닉 테이블에 앉아 간만의 여유를 즐기는 풍경은 도심 속 작은 워터파크 같았다.매년 더 더워지는 여름, 앞마당을 수영장으로 개방해 지역 주민들에게 즐겁고 시원한 쉼터가 되어주는 교회들이 있다. 동네 교회 안에 마련된 물놀이터는 아이들에게 안전한 돌봄과 친구가 있는 신나는 시간을, 어른들에겐 잠시 여유를 누릴 쉼을 주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아이들 웃음 채운 교회 마당 호산나교회는 2016년부터 매년 여름 지역 아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워터슬라이드와 수영장을 설치해 개방해왔다. 한여름 주말이면 지역민 100여명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이상희 목사는 “유료 워터파크에서는 많은 인파 속에서 부모들이 아이를 한시도 눈에서 떼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교회에서 운영하는 수영장은 믿을 수 있는 봉사자들이 곳곳에서 세심하게 살피고 있어 부모들도 휴식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교회가 수영장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단연 안전이다. 이를 위해선 여러 손길이 필요하다. 수영장 안팎에서 아이들 안전을 지키는 역할은 안수집사와 남전도회 청년들이다. 수영장 운영 기간 봉사가 필요한 시간대를 나눠서 각자 가능한 날을 표시해 채운다. 올해 수영장은 오는 27일까지 3주에 걸쳐 토·일요일 운영된다.안전 관리만큼 어려운 일이 또 있다. 바로 시설 관리다. 이승훈(49) 안수집사는 “그동안 교회에선 수영장 개방을 위해 매년 워터슬라이드를 임대했는데, 재작년 자체 구입을 결정했다”면서 “간이 수영장과 워터 슬라이드를 안전하고 깨끗하게 사용하기 위해 매주 사용 후 정리하고 새로 설치한다”고 말했다. 15명 넘는 봉사자들이 힘을 합쳐 설 18일 광주 북구 신안동의 한 도보다리 주변이 전날 내린 폭우로 무너져 있다. 광주에는 전날 하루동안 426.4㎜의 비가 내리면서 1939년 기상관측 이후 광주 지역 역대 최고의 일강수량을 기록했다. 뉴시스 짧은 시간 집중된 ‘극한 호우’로 충청권에 이어 남부 지역 곳곳의 누적 강수량이 400㎜를 넘겼다. 호우 피해가 속출한 가운데 주말에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하루 최대 300㎜ 이상의 폭우가 예보돼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8일 이번 호우로 충남 서산에만 519㎜의 비가 쏟아졌다고 밝혔다. 전남 나주와 광주 북구, 충남 홍성·서천 등도 400㎜를 넘는 기록적인 강수량을 보였다. 시간당 강수량이 30㎜만 돼도 ‘호우(큰 비)’로 보며, 50㎜를 넘어서면 도로 곳곳이 물에 잠기고 보행이 쉽지 않은 상황이 된다.이번 호우는 대부분 밤사이 쏟아졌다. 기상청은 고도 약 1.5㎞ 부근에서 부는 빠른 바람인 ‘하층 제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하층 제트가 부는 고도는 일반적으로 야간에 더 낮아지는데, 수증기는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양이 늘어난다. 수증기 공급이 더욱 원활해 지면서 구름이 빠르게 성장하고 야행성 폭우로 발전했다는 얘기다.짧은 시간 ‘물벼락’ 수준의 비가 쏟아지면서 피해도 속출했다.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다. 실종자는 모두 광주에서 발생했다. 전국 13개 시도에서 5661명이 긴급 대피했고, 이 중 3555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했다.특히 광주의 경우 하루에만 426.4㎜의 비가 내려 7월 극값을 경신했다. 기존 1위 값은 1989년 7월 25일의 335.6㎜였다. 예년 7월 강수량 평년값이 294.2㎜라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 만에 한 달 치보다 많은 비가 한꺼번에 쏟아진 셈이다. 시간당 강수량도 76.2㎜로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충청·전라권만큼은 아니지만, 대구·경북 지역도 170~220㎜의 ‘물 폭탄’이 쏟아졌다.소방 당국은 호우 기간 인명 구조 357건, 급·배수 지원 234건, 안전조치 5379건 등 총 5970건의 소방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광주에서만 48건의 인명구조 요청이 접수돼